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4월 직장인 건강보험료 인상…월급 올랐다면 고지서 확인 필수!
2025년 4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건강보험료 인상입니다. 특히 2024년에 월급이 소폭이라도 오른 직장인이라면, 이번 달부터 매달 내야 할 보험료가 인상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강보험료, 왜 인상됐을까?
건강보험료는 매년 보수총액(연봉)에 따라 조정됩니다. 2025년 4월부터 적용되는 보험료는 2024년 연봉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작년보다 월급이 조금이라도 오른 직장인이라면 보험료 역시 자연스럽게 인상되는 구조입니다.
이번 인상의 실제 체감 폭은?
2025년 건강보험료율은 7.09%로, 작년보다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 연봉 4,000만 원 → 월 3천~5천 원 이상 증가
- 연봉 6,000만 원 이상 → 월 1만 원~수만 원 증가 가능
연봉 인상이 많을수록, 그에 따라 건강보험료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분할납부(12회) 가능! '갑자기 오른 보험료' 부담 줄이기
2025년 4월 건강보험료가 갑자기 크게 올라 예상보다 고지서 금액이 높게 나왔다면, 분할 정산 납부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12회 분할납부 가능
- 추가 정산된 보험료는 최대 12개월에 나눠 납부 가능
- 한 번에 부담하지 않고, 월급에서 나눠 공제 가능
- 소득 변동이 있었던 직장인에게 유용
📞 분할납부 신청은 회사 경유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로 문의하면 됩니다.
건강보험 EDI 시스템에서 확인 가능
회사에서 급여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분이라면, EDI(전자자료교환시스템)를 통해 직원들의 건강보험료 변동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DI 접속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EDI 홈페이지 접속
- 사업장 로그인 → 보험료 고지/납부 내역 확인
- 4월부터 변경된 보험료 명세서 확인 가능
개인 직장인도 'The건강보험' 앱 또는 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건강보험료 변동 내역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월급이 조금밖에 안 올랐는데도 보험료가 인상되나요?
👉 네. 보험료는 연봉 전체 기준으로 산정되므로, 소액 인상도 반영됩니다.
Q2. 보험료 인상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 2025년 4월 고지분부터 적용됩니다.
Q3. 보험료가 과하게 나온 것 같으면 조정 가능한가요?
👉 사업장 또는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해 재산정 요청 가능합니다.
Q4. 분할납부 신청은 직원이 직접 하나요?
👉 보통 회사 인사/총무팀을 통해 처리하며, 개별 신청도 가능합니다.
마무리: 꼭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
- 건강보험료는 매년 4월, 전년도 연봉 기준으로 새로 산정됨
- 2024년 급여가 오른 직장인은 이번 달 보험료가 인상되었을 수 있음
- 부담이 크다면 12회 분할 납부 가능
- 고지 내용은 EDI 시스템 또는 The건강보험 앱에서 확인 가능
👀 이달 고지서를 꼭 한 번 확인해보세요!